문화 정보/IT, 과학 정보 썸네일형 리스트형 [달에 가자] 달에 가기 위해서는??? 달에 가는 것은 진보된 기술, 상당한 자원, 그리고 신중한 계획을 필요로 한다. 다음은 유인 달 탐사와 관련된 몇 가지 기본 단계이다: 달까지 인간을 실어 나를 수 있는 우주선을 개발하세요. 이것은 우주선을 우주로 발사하기 위한 강력한 로켓과 달 표면에서 안전하게 착륙하고 이륙할 수 있는 별도의 착륙 모듈을 필요로 할 것이다. 임무를 계획하고 필요한 궤도, 연료 요구량 및 기타 물류를 계산합니다. 이것은 최적의 발사 시간, 달로 가는 가장 효율적인 경로, 그리고 임무 기간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것이다. 신체적, 정신적으로 임무를 완수할 수 있는 우주 비행사 팀을 모집하고 훈련시킨다. 우주 비행사들은 우주 비행 조작, 항해, 그리고 생존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기술에 대한 훈련을 받아야 할 것이다. 우주선.. 더보기 [우주너머] 저 멀리 우주 Space is the vast, three-dimensional expanse that exists beyond the Earth's atmosphere. It is home to the stars, planets, and other celestial bodies that make up our solar system, as well as countless other galaxies and systems beyond our own. The study of space is known as astronomy, and scientists and researchers use a variety of tools and technique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mysteries of .. 더보기 [기적 믹스] 기적처럼 살아 돌아온 광부들! 기적의 비밀은 커피믹스? 기적처럼 살아 돌아온 광부들! 기적의 비밀은 커피믹스? 지난 11월 4일 경북 봉화군에서 광산이 무너지는 사고로 고립됐던 광부들이 사고 9일 만에 무사히 구조됐지요. 기적 같은 생환 소식과 함께 주목 받은 건 바로 "커피믹스"! 광부들이 커피믹스를 하루에 1~3개 씩 먹으며 구조를 기다렸거든요. 커피믹스는 높은 칼로리를 자랑해요. 한 봉지당 45~50kcal 수준으로 식빵 반쪽 열량이지요. 심지어 커피믹스에는 생존에 필수인 탄수화물 9g, 당류 6g, 지방 1.6g(한 봉지 기준) 의 영양소가 들어 있어 체온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열량을 낼 수 있지요. 구조된 광부들을 치료한 의사도 "식사 대용으로 커피믹스를 먹은 것이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는데요~ 높은 칼로리로 악명 높았던 커피믹스!!! 필요할 .. 더보기 [탄소 배출] 탄소배출량 감축에 동참? 지난 11월 영국 글래스고어에서는 COP26(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이 열렸어요. 이번 총회에는 130여 개 나라의 정상들이 모여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행동에 나설 것을 약속했어요. 우리나라 대통령도 총회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면서, 2030년까지 국내 탄소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하겠다고 발표했죠. 이는 이전에 제시한 목표보다 무려 14%나 높은 수치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을 감축해야 하는 매우 도전적인 과제라고 해요. 우리나라에서는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한 주요 과제를 세워 놓고 있어요. 석탄발전소 감축과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 스마트 공장 확대, 건축물에 대한 에너지 기준 강화, 전기차 보급 확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세워 놓.. 더보기 [왜?] 싱크홀 발생, 그 이유는? 싱크홀, 왜 발생할까? "땅 꺼짐" 현상이라고 불리는. 싱크홀은 카르스트 지형에서 흔히 발생하는 지질 현상이에요. 카르스트 지형이란,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석회암 층이 빗물이나. 지하수에 녹으면서 생기는 지형을 말해요. 이런 카르스트 지형에서는 지하 석회암 층이 빗물이나. 지하수에 의해서 녹아 지하에 커다란 동굴이 생성되었다가. 지하수가 빠지면 동굴 천장이 위쪽 바위나 흙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며 무너지는 일이 종종 발생하거든요.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도 1년에 평균 900건. 하루 평균 2.6건의 크고 작은 싱크홀이 실제로 발생하고 있다고 해요. 그 중 서울에서 발생하는 싱크홀이 무려 78%를 차지하고 있고요. 그 원인은 바로 도심 개발이에요. 현대 도시의 건축물 및 도로 등을 만들기 위해서 .. 더보기 [사이언스] 국내 호캉스?? 곤충을 위한. 국내 호캉스 등장! 코로나19로 인하여 멀리 여행을 가는 것이 힘들게 된 요즘. 근처 호텔로 호캉스를 떠나는 경우가 늘고 있지요. 그러한데, 곤충을 위한 호텔도 있다는 사실. 알고 있으셨나요? 바로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만든. 폴리네이터 가든 폴리네이터 가든은 꽃가루매개자(벌, 나비 등의 곤충류)를 위한 정원으로. 곤충을 위한 호텔 같은 편의 시설이라고 해요. 지난 7월 21일 개장한 이곳에서는. 갖가지 곤충은 물론이고, 국제 멸종위기인 큰주홍부전나비를 비롯하여. 도심에서 보기 힘든 호랑나비. 긴꼬리제비나비 등 다양한 곤충을 관찰할 수 있다고 하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직접 방문해 보세요. 2021.08.26 - [문화 정보/IT, 과학 정보] - [사이언스] 암을 억제 한다? 더보기 [사이언스] 암을 억제 한다? 체리가 두가지의 암을 억제한다? 붉은색 체리는 보기만해도 먹음직스러운데요. 이러한 체리가 맛 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좋다고 하지요. 체리 속 페릴릴알코올과 안토시아닌이. 전립선암과 유방암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거든요. 미국 택사스 A&M대 줄리아나 노라토 박사가 2020년(기능성 식품 저널)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체리 속 안토시아닌은 유방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고 해요. 또한, 강남세브란스 병원과 미국 메이요클리닉 공동 연구팀에. 따르면 체리의 페릴릴알코올이 전립선암 세포 성장을 막는다고 하네요. 이러한 체리의 항암 효과는 체리를 가공하지 않고. 생으로 먹었을 때에 더욱 높다고 하니. 통조림이나 가공 체리 대신 생 체리를 물에 씻어서 먹는게 더욱.. 더보기 [사이언스] 머리가 더 아프다?? 도시에서는. 창밖을 보면. 머리가 더 아프다? 머리가 아플 때에. 창문 밖 풍경을 보면. 좀 나아진다는 말이 있지만. 도시에서는 오히려 역효과일 수 있어요. 인간의 뇌는 수만 년에 걸쳐 곡선 형태의 자연 풍경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도록. 진화해 왔기 때문에. 빌딩처럼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패턴은. 뇌가 처리하기 어렵다고 해요. 영국 에식스대 등의 연구에 따르면. 인간의 뇌를 비롯한 신경세포는. 이런 규칙적인 패턴을 처리할 때. 활동량이 증가해 더 많은 산소를 사용하게 된다고 해요. 그래서 도시의 풍경은 오히려 뇌에 과부하를 불러와 두통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해요. 그러하니, 머리가 지끈거릴 때에는 도시를 벗어나서. 자연으로 가서 일상에 쉼을 주는 게 효과적이겠지요. 2021.08.25 - [문화 정보/IT,.. 더보기 [사이언스] 피부 깊숙한 곳까지 침투? 미세먼지, 아토피 등 피부질환이 있으면. 피부 깊숙한 곳까지 침투한다! 아토피가 있으면. 피부에 염증이 쉽게 생기게되죠. 그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있지요. 최근에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미세먼지 를 꼽았지요. 연구원에서는 미세먼지의 주요 성분인. 탄소 분자 결합을 직접 관찰 할 수 있는 비선형광학현미경을 이용해. 피부 조직을 관찰한 결과. 미세먼지가 각질이 손상된 피부에 침투해. 염증을 악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했죠. 미세먼지가 체내에 들어와 호흡기 등에 영향을 주는 것뿐 아니라. 아토피 등으로 각질이 손상된 피부에도 악영향을 준다고 하니. 미세먼지가 많은 날에는 외출 후 반드시 피부를 꼼꼼히 씻어야 할 것 같네요. 더보기 [가을 모기] 모기 경보! 옷으로 막을 수 있을 까? 가을 모기 경보! 옷으로 막는다? 여름밤이면 귓가에서 앵앵거리는 모기와 힘겨루기 한판을 벌였던 기억! 하지만, 올 여름에는 모기와 격렬하게 싸워 본적이 없는 것 같네요. 설마 모기가 사라진 것일까? 최근 모기 개체수가 줄어든 건 사실. 서울시에 설치된 50개의 모기측정기에 잡힌 모기 수를 확인한 결과. 지난 2020년 보다 올해 약 30%가 줄었다고 해요. 이건 올여름 날씨 때문이지요. 올 여름에는 장마가 유독 짧고 강수량도 적어. 모기가 알을 낳거나 서식할 수 있는 물웅덩이가 많이 형성되지 않은 데다가, 비가 올 때면 집중호우로 그나마 있던 물웅덩이마저 넘쳐 모기 알과 유충이 흘러 사라졌지요. 게다가 밤낮없이 이어진 고온 현상은 모기가 맥을 못 추게 했고(모기 유충은 29~30℃ 정도에서 가장 빠르게 ..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