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시콜콜 스케치/오늘의 명언

[오늘의 명언] 22. 07. 28 명언 목표를 이루고 싶다면 A goal without a plan is just a wish. -Antonie De Saint-Exupery- 계획없는 목표는 한낱 꿈에 불과하다. 삶의 목표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사람들은 즉시 대답한다. 원하는 직장을 구하는것, 새 사업을 시작하는 것, 악기를 배우는 것....., 하지만 그들은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어떤 계획을 세웠는지 물어보면 우물쭈물한다. 목표를 갖는 것은 물론 중요하다. 목표가 없으면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목표를 갖는 것은 쉽지만,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는 것은 쉽지 않다.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까? 목표에 도달하기까지 얼마나 걸릴까? 어떻게 해야 할까? 성공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도와줄 사람은 누구일까.. 더보기
[오늘의 명언] 22. 07. 27 명언 용서 Life is an adventure in forgiveness. -Norman Cousins- 인생은 용서를 전제로 한 모험이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결함을 안고 태어난 존재다. 남에게 상처를 주거나 절망에 빠뜨리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이런 행동은 고의일 수도 우연한 일일 수도 있다. 그 어떠한 경우라도 결과는 똑같다. 누군가에게 잘못을 저질렀고, 그는 상처를 입었다. 마음이 상했거나 화가 나면 그 감정을 마음속에 담아 두고 싶어진다. 그러나 내가 남에게 잘못할 수 있듯이 남도 내게 잘못하는 경우가 있음을 인정하고, 내 자신을 용서하고 싶듯이 남도 용서해 줄 수 있다면 세상은 보다 살기 좋은 곳이 되지 않을까? 내게 잘못을 저지른 이들을 용서하도록 노력해야지 더보기
[오늘의 명언] 22. 07. 26 명언 사랑 Who, being loved, is poor? -Oscar Wilde- 사랑받는 이들 중에서 불쌍한 사람이 있는가? 비틀즈는 "돈으로는 사랑을 살 수 없다" 고 노래했다. 사실이다. 사랑은 그 자체가 하나의 부유함이며, 그 어떤 물질적 부유함보다 더 소중하다. 이 소중한 부유함을 차분히 앉아 계산해 보면 우리가 얼마나 부유한지 깜짝 놀랄 것이다. 사랑하는 연인이나 배우자, 가족, 그리고 친구들, 이들의 사랑을 다 더해 보면 어마어마한 수치가 나올 것이다. 그러나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사랑은 우정 같은 것이다. 따스한 마음으로 기꺼이 내주기 전에는 받을 것을 기대할 수 없다. 오늘은 사랑하는 이들에게 "사랑해" 라고 말할거야. 진심을 담아 그렇게 말할 거야. 더보기
[오늘의 명언] 22. 07. 24 명언 행복은 마음먹기 나름 Most folks are about as happy as they make up their minds to be. -Albraham Lincoln- 대부분 행복하고자 마음먹은 만큼 행복해진다. 우리가 생각하는 행복에는 늘 조건이 따른다. 어떤 이들에게 행복의 조건은 좋은 사람을 만나는 것, 괜찮은 회사에 다니는 것, 혹은 더 좋은 집에 사는 것이다. 또 다른 사람들은 아기가 태어나기를, 월급이 오르기를 바라고, 계절이 바뀌면 행복해질 거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주변을 둘러보면 이런 조건들이 없음에도 행복한 사람들을 볼 수 있다. 그들은 왜 행복할까? 절대 이루어질 가능성이 없는 조건을 내세우고 행복이 찾아와 주기를 마냥 기다리는 대신, 지금 당장 행복하겠노라고 마음먹었기 때문이다. .. 더보기
[오늘의 명언] 22. 07. 23 명언 미래를 상상하라 We need men who can dream of things that never were. -John F. Kennedy- 우리에게 절실한 것은 지금까지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것을 꿈꿀 수 있는 사람들이다. 스스로에게 물어보라. 누구도 지은 적이 없는 건물을 상상할 수 있는가? 그 누구도 불러 보지 못한 노래를 지을 수 있는가? 그 누구도 고치지 못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다행히 세상에는 남다른 상상력으로 이러한 것을 만들어 내는 사람들이 있다. 전자레인지, 개인용 컴퓨터, 인터넷, 휴대전화, 칼을 대지 않는 외과 수술을 떠올려 보라. 이것들은 지금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몇 십 년 전만 해도 상상조차 하지 못한 것들이었다. 지금까지 존재하지도 만든 적도 없는 .. 더보기
[오늘의 명언] 22. 07. 22 명언 실수하면서 배우는 법 Mistakes are the portals of discovery. -James Joyce- 실수는 발견으로 가는 관문이다. 실수를 좋아하는 사람이 어디 있으랴. 실수를 저지르면 창피하고 위축될 뿐만 아니라 무능하고 바보 같다는 자책감에 시달린다. 그러나 실수하지 않고는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없다. 설령 한 번도 실수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고 해도 그런 삶은 얼마나 따분하고 지루하고 비생산적일까? 실수가 없었더라면 전혀 알지 못했을 가능성의 문을 우리는 실수를 통해 열 수 있다. 지금이라도 일어날 수 있고 언젠가 하게 될 지 모를 실수를 통해 오히려 더 많은 것을 배우는 법이겠지. 더보기
[오늘의 명언] 22. 07. 21 명언 나를 빛내는 건 바로 나 The self is not something ready-made, but something in continuos formation through choice of action. -John Dewey- 자아란 이미 완성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행위의 선택을 통해 지속적으로 만들어진다. 내 존재와 가치는 내가 날마다 하는 선택에 의해 규정된다. 내가 입는 것, 먹는 것, 모는 차, 하는 일, 사는 곳, 여가 시간을 보내는 법, 사람들을 대하는 태도, 자신을 대하는 태도 등이 모여 내 존재가 만들어지므로 늘 신중하고 사려 깊게 선택하고 조심해야 한다. 오늘 내가 어떤 선택을 하는지, 그리고 그 선택 때문에 내가 어떤 사람으로 보이는지 곰곰이 생각해 보자 더보기
[오늘의 명언] 22. 07. 20 명언 냉소적인 사람이 되지 마라 Never be a cynic, even a gentle one. Never help out a sneer, even at a devil. -Vachel Lindsay- 비꼬는 것은 부드러운 말로도 하지 말고, 비웃음은 마귀에게라도 보이지 마라. 오늘날 세상의 모든 대화는 냉소주의로 가득 차 있는 듯하다. 현실 문제에 그 즉시 비난하면 똑똑하고 잘난 사람으로 여겨지는 분위기다. 그러나 누구나 어렸을 때는 이러지 않았다. 아이들은 비록 절망에 빠지더라도 모든 것을 긍정적이고 열린 마음으로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아이들과 함께 있을 때 즐거워지는 이유는 아이들의 신선하고 밝고 지칠 줄 모르는 동심 때문이다. 오늘 그 사람의 밝은 면만 바라보며, 빈정대는 말투는 꺼내지도 말자 더보기
[오늘의 명언] 22. 07. 19 명언 선행 Courage is the ladder on which all the other virtues mount. -Clare Boothe Luce- 모든 선행은 용기의 사다리를 타고 오른다. 자신이 기본적으로 곧은 사람, 높은 가치관을 갖고 올바르게 사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싶어한다. 그러나 자신이 저지른 일에 대한 책임이 두려운 나머지 거짓말을 하거나, 성차별적이거나 인종차별적이거나 다른 사람의 마음에 상처를 주는 말을 듣고도 침묵한 적은 없는가? 불의를 보고도 뒤꽁무니 친 적은 없는가? 곧고 윤리적이며 올바른 사람이라고 자신할 수 있을까? 가치관에 따라 살고 가치관을 실현하려면 용기가 필요하다. 나 혼자 편하게 살겠다고 내 인격과 양심을 무시하는 일은 하지 않아야겠다. 더보기
[오늘의 명언] 22. 07. 18 명언 시내보다 강물이 될 때 Never doubt that a small group of thoughtful, committed citizens can change the world. Indeed it is the only thing that ever has. -Margaret Mead- 사려 깊고 헌신적인 시민들로 이루어진 소그룹이 세상을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결코 의심하지 마라. 세상은 이들에 의해 변화해 왔다. 어디를 가나 문제가 없는 곳은 없다. 이런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하고 개선할 것인가? 혼자 힘으로는 바꾸기 힘들지만, 규모에 관계없이 한데 힘을 모으면 변화를 이끌어 낼 가능성이 극적으로 높아진다. 학교에서도 선생님과 학부형이 힘을 모으면 학부형 혼자 애쓰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이루어 낼 수 있으며..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