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시콜콜 스케치

[모든 사랑] 23. 02. 14 오늘의 사랑 사랑이란? Who can tell what metals the gods use in forging the subtle bond which we call sympathy, which we might as well call love. -Kate Chpin- 신이 어떤 금속을 써서 우리가 공감이라고 부르는, 섬세한 연결 고리를 벼리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우리는 이것을 사랑이라고 부르는 편이 나을 것이다. -케이트 쇼팽- 더보기
[오늘의 명언] 23. 02. 14 명언 화나게 하는 것 Everything that irritates us about others can lead us to an understanding of ourselves. -Carl Gustav Jung- 다른 사람이 내 눈에 거슬리는 점이 무엇인지 살펴보면 나 자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우리는 누군가를 "준 것 없는데 괜히 미운 사람" 이라는 딱지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그 사람의 어떤 점이 눈에 거슬리는지 물으면 머뭇거리기만 한다. 그 사람의 걷는 모습? 그 사람의 하는 짖이 그냥 눈에 거슬리는 걸까?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누군가가 괜히 싫고, 그런 감정에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러는 것은 그 사람 때문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오히려 그가 내 단점을 자꾸만 상기.. 더보기
[좋은 글귀 한줄] 23. 02. 14 한줄 시인에게 내가 배운 것 시인에게서 내가 배운 것은 '나' 에 대한 조심이다. 아이가 태어나면 부모는(아이뿐만이 아니라) 자기 자신도 새처럼 다뤄야 한다. 새를 손으로 쥐는 일은, 내 손으로 새를 보호하는 일이면서, 내 손으로부터 새를 보호하는 일이기도 하다. 내가 내 삶을 지켜야 하고 나로부터도 내 삶을 지켜야 한다. 이것은 결국 아이의 삶을 보호하는 일이다. -신영철의 중에서- 시인은 위대한 스승입니다. 시인에게서 배우는 것이 너무도 많습니다. 시를 통해 '나'를 알게 합니다. 새를 손으로 쥐듯, 섬세한 감각으로 나를 다루는 법도 배웁니다. 내가 나를 보호하는 것이 나와 가까운 주변 사람들의 삶도 보호하는 것임을 깨닫기도 합니다. 아름답고 간결한 시어의 옷으로 내 삶을 입히는 것이 내 삶의 온기를 지키.. 더보기
[모든 사랑] 23. 02. 13 오늘의 사랑 사랑이란? The demand for equal rights in every vocation of life is just and fair; but, after all, the most vital right is the right to love and be loved. -Emma Goldman- 삶의 모든 분야에서 동등한 권리를 요구하는 것은 정당하고 타당한 일이다. 하지만 결국 가장 필수적인 권리는 사랑하고 사랑받을 권리다. -엠마 골드만- 더보기
[오늘의 명언] 23. 02. 13 명언 믿음 What we need is not the will to believe, but the wish to find out. -Bertrand Russell-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믿고자 하는 의지가 아니라 알고자 하는 소망이다. 믿음이 확신으로 이어지려면 상상력이 풍부해야 한다. 진정한 믿음은 인생의 어려운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는 욕구와, 그 해답을 추구하는 마음가짐이다. 진정한 믿음은 종교적인 교리를 따르는 것일 수도 있고, 자신의 경험이나 연구를 통해 얻은 것일 수도 있다. 어떤 경우라도 그 의미를 끊임없이 추구하고 해답을 찾고자 노력하는 한 믿음은 더 깊고 강해진다. 믿음은 나를 지탱해 주고, 나로 하여금 보다 많은 것을 알기 위해 노력하도록 이끌어 줘. 더보기
[좋은 글귀 한줄] 23. 02. 13 한줄 모든 순간에 잘 살아야 한다 우리는 살아 있는 모든 순간에 잘 살아야 한다. 디오게네스도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 누군가 그에게 "이제 나이가 들었으니 쉬어야 하지 않겠느냐" 고 했을 때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 "내가 달리기를 하고 있는데 결승점에 다가간다고 달리기를 멈추어야 할까?" -고병권의 중에서- 그렇습니다. 모든 순간에 잘 살아야 합니다. 젊을 때는 젊으니까 잘 살아야 하고 나이가 들면 들었으니까 더 잘 살아야 합니다. 그래서 달리기의 결승점에 이르는 순간까지 "열심히 달렸다", "최선을 다했다" 고 스스로 말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잘 살았다 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더보기
[모든 사랑] 23. 02. 12 오늘의 사랑 사랑이란? One knows love somehow only when all one's ideas are destroyed, and this becoming unhinged from what one knows is the paradigmatic sign of love. -Judith Butler- 사람은 어떻게든 자신의 견해가 모두 파괴되었을 때에만 사랑을 알게 된다. 이렇게 자신이 알고 있는 사실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사랑의 전형적인 징후다. -주디스 버틀러- 더보기
[오늘의 명언] 23. 02. 12 명언 사랑이야기 The story of a love is not important-what is important is that one is capable of love. It is perhaps the only glimpse we are permitted of eternity. -Helen Hayes- 사랑의 이야기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것이야말로 영원을 엿볼 수 있도록 우리에게 허용된 유일한 창구다. 누군가를 사랑할 때 우리는 자신의 가장 선한 모습을 드러내 보인다. 우리는 그에게서 사랑을 받기 원하고, 그 사랑이 영원하기를 꿈꾼다. 사랑이 바라는 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해도, 사랑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우리는 한층 성숙해진다. 그리고 언제라도 사랑할 수 있다. .. 더보기
[좋은 글귀 한줄] 23. 02. 12 한줄 무자비한 태도와 행동 이 세상은 우리가 만들어 놓은 것이다. 오늘날 이 세상이 무자비하다면, 그것은 우리의 무자비한 태도와 행동이 그렇게 만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 자신이 변하면 우리는 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 우리 자신을 바꾸는 것은 우리가 매일 쓰는 언어와 대화 방식을 바꾸는 데서 시작한다. -마셜 B. 로젠버그 중에서- 무자비한 태도와 행동 그 반대말은 자비로운 태도와 행동 입니다. 그것은 그 사람의 언어에 나타납니다. 다른 사람과 대화하는 태도와 방식에 고스란히 녹아 있습니다. 언어와 대화방식만 바꾸어도 삶이 달라집니다. 사람 사이의 관계도 바뀝니다. 세상도 바꿀 수 있습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더보기
[모든 사랑] 23. 02. 11 오늘의 사랑 사랑이란? Love that stammers, that stutters, is apt to be the love that loves best. -Gabriela Mistral- 더듬거리고 비틀거리는 사랑이 대개 가장 능숙한 사랑이다. -가브리엘라 비스트랄-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