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정보/시사, 연예 정보

[응답하라] 그 시대 _ 그 청춘, 문화란?

반응형

10대~20대에 해당하는 청춘들은.

같은 문화를 공유하며, 이를 적극적으로 표핸해요.

그리고 이런 그들의 문화는 음악, 패션 뿐만 아니라 사회의 전반에 영향을 끼쳐왔지요.

한 예로, 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걸쳐 태어난 Z세대와.

 

2011~2015년에 태어난 알파세대는 어려서부터 기술적 진보를 경함하며 자라나.

스마트 기기에 익숙해 자신의 정체성을 SNS로 다채롭게 표현해요.

또한, 최신 트렌드에 민감하고,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

자심이 접해보지 못한 옛것을 추구하는 뉴트로에 빠지기도 하지요.

그럼 이를 비롯해 청춘들이 공유해 온 어떤 다양한 문화가 있을지 간단히, 지금 알아봐요!



 

1. 1920년대 _ 신여성

 

: 여성의 인권이 낮았던 1920년대 당시.

영국에서 여성에게도 투표권을 달라며 기성세대에 반기를 든 여성을.

[신여성]이라고 불렀고, 이 말을 일본을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당시 우리나라의 신여성들은 양장을 입거나, 한복 치마를 종아리가 조금 보일 정도의 길이로 잘라 입었다.

모자나 안경을 쓰거나. 머리를 짧게 자르기도 했다.


2. 1950년대 _ 비트세대

: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풍요로운 물질환경 속에서.

문학 예술가들은 개인이 사회의 부속품처럼.

여겨지는 것에 저항하는 움직임을 펼쳤다.

출세, 교육 등 전통적인 개념에 저항했으며. 민속 음악을 즐기며 도시보다.

시골 생활을 즐기고 낙천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3. 1960년대 _ 히피

 

: 미국을 중심으로 일어난 문화로.

기성의 사회 통념, 제도, 가치관에 저항하고.

자유와 평화를 사랑한다. 또한, 자신의 행복에 최우선의 가치를 두고 행동한다.

보통 머리를 길게 기르며 펜던트, 굵은 벨트 등 화려한 차림새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4. 1970년대 _ 힙합

 

: 미국의 뉴욕 할렘가에 거주하는 아프리카계, 히스패닉계 청소년들에 의해 형성된.

거리 문화이며, 전철 등에서 스프레이 페인트로 거대한 그림을 그리는.

'그라피티', 비트가 빠른 리듬에 맞춰 삶을 이야기하는.

'랩', 랩에 맞춰 곡예 같은 춤을 추는.

'브레이크 댄스'가 특징이다.


5. 1980년대 _ 코스프레


: 의상(코스튭)과 놀이(플레이)의 합성어로.

마니아들이 만화나 게임 속 캐릭터의 모습으로 분장해.

흉내를 내는 취미 문화다. 영국에서 죽은 영웅들을 추모하는 예식에서 시작된 것이.

미국, 일본으로 넘어가 만화 캐릭터의 의상을 입는 축제로 변해.

유행하게 되었다.


6. 2010년대 ~ 현재 _ 뉴트로

: 새로움(뉴)과 복고(레트로)의 합성어로.

복고를 새롭게 즐기는 문화다.

현대 문물보다 경험한적 없는 과거의 것으로부터.

색다름을 느끼고 즐기는 것이 특징이다.

과저의 것을 그대로 옮겨오는 것이 아니라, 현대에 맞게 재창조되곤 한다.

패션, 음악, 인테리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복고: 과거의 모양, 정치, 풍습 따위로 돌아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