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 이 비
似 而 非
겉은 제법 비슷하나 속은 전혀 다르다
맹자에게 어느 날 만장이라는 제자가 물었다.
"한 마을 사람들이 모두 어떤 사람을 훌륭한 사람이라고 칭찬한다면.
그런 사람은 어디를 가더라도 훌륭한 사람일 것 입니다.
그런데 공자께서는 어찌하여 그들을 가리켜 '향원(지방의 토호)은 덕을 해치는 도둑' 이라고 하셨습니까?
이에 맹자가 대답했다.
"비난하려 해도 특별히 비난할 것이 없고, 공격하려 해도 구실이 없으나 단지 세속에 아첨하고 더러운 세상에 합류한다.
또 집안에서는 충심과 신의가 있는 척하고, 밖에 나가 행동할 땐 청렴결백한 척 한다.
그래서 스스로도 옳다고 생각하고, 사람들도 다 좋아하지만, 그 들과 함께 요순의 올바른 도에 들어가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또 공자께서는 이런 말씀을 하셨다.
'사이비한 것'을 미워한다. 말 잘하는 것을 미워함은 그가 정의를 혼란시킬까 두려워서이고, 정나라 음악을 미워하는 것은,
아악을 혼란시킬까 두려워서이다.
향원을 미워하는 것은 그들이 덕을 혼란시킬까 두려워서 이다."
반응형
'시시콜콜 스케치 > 오늘의 고사성어,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고사성어] 21. 09. 28 고사성어 (0) | 2021.09.28 |
---|---|
[오늘의 고사성어] 21. 09. 27 고사성어 (0) | 2021.09.27 |
[오늘의 고사성어] 21. 09. 25 고사성어 (0) | 2021.09.25 |
[오늘의 고사성어] 21. 09. 24 고사성어 (4) | 2021.09.24 |
[오늘의 고사성어] 21. 09. 23 고사성어 (0) | 2021.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