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학습>
당신은 어떤 사랑인가?
子曰: "君子食無求飽, 居無求安, 敏於事而愼於言, 就有道而正焉, 可謂好學也已."
자 왈 군 자 식 무 구 포 거 무 구 안
민 어 사 이 신 어 언
취 유 도 이 정 언
가 위 호 학 야 이
-학이 14-
공자가 말했다. "군자가 먹는 것에 배부름을 추구하지 않고,
생활에 편안함을 추구하지 않고,
일을 민첩하게 처리하되 말은 신중히 하며,
도를 가진 사람에게 나아가 나를 바로 잡는다면 충분히
배움을 좋아하는 사람이라고 할 것이다.
'호학' 은 학습의 기쁨을 느끼며 살아가는 사람이라는 뜻 입니다.
공자와 그 제자들은 자신들을 "학습을 좋아하는 집단" 이라고 정의했습니다.
학습을 통해 성숙한 인산이 되고자 하는 집단이라는 것입니다.
공자는 동양 최초로 가르치는 것을 직업으로 한 사람이었습니다.
제자들이 공자에게 모여든 것은 학습을 통해 자신들의 가치를 높이고자 했기 때문이었습니다.
호학은 공자가 문하생들에게 하는 최고의 칭찬이었습니다.
그런데 공자는 단순희 책을 많이 읽고 지식을 많이 얻었다고 호학이라고 칭찬하지 않았습니다.
기본적인 인성을 갖추어야 호학이라는 것입니다.
배부름을 추구하는 것과 편안함을 추구하는 것은 인간의 기본 욕망입니다.
그 욕망으로부터 벗어나 민첩한 일 처리,
신중한 언어 사용, 인간의 도리를 기준으로 자기 성찰을 한다면
그 사람은 진정 배움을 좋아하는 호학의 군자라고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공자에게 학습이란
몸 공부였고, 현실 공부였습니다.
인간의 모든 일상이 바로 공부의 과정이었습니다.
호학은 책을 많이 읽는 사람도 아니고
시험 문제를 잘 푸는 사람도 아닙니다.
인간으로서 기본을 제대로 갖춘 사람이 호학입니다.
好 學 호 학:
배움을 좋아하는 사람
1일 1강 논어 강독 / 박재희 지음
반응형
'시시콜콜 스케치 > 오늘의 논어 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 1 논어] 23. 03. 12 오늘의 논어 (0) | 2023.03.12 |
---|---|
[1일 1 논어] 23. 03. 10 오늘의 논어 (2) | 2023.03.10 |
[1일 1 논어] 23. 03. 09 오늘의 논어 (0) | 2023.03.09 |
[1일 1 논어] 23. 03. 05 오늘의 논어 (2) | 2023.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