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시콜콜 스케치/오늘의 좋은 글귀 썸네일형 리스트형 [좋은 글귀 한줄] 21. 08. 24 한줄 잘 버티기 도배는 버티기만 하면 누구나 기술자가 된다는 말은 곧 버티기가 쉽지 않다는 말이라는 것을 일을 시작한 후에 바로 알게 되었다. 막상 도배를 시작하고 나니 긍정적인 말보다 겁을 주는 말들이 더 많이 들려왔다. '도배는 십중팔구 시작한 후 한 달 내에 그만두게 된다'라는 말도 많이 들었다. 일해보니 그 말뜻을 금방 알 수 있었다. 맨 처음에는 체력이 가장 문제가 되었다. 어깨, 손목, 손가락부터 허리, 무릎까지 아프지 않은 곳이 없고 피곤하지 않은 날이 없었다. 회사 다닐 때에는 얼마나 몸이 편했는지 알게 되었다. - 배윤슬의《청년 도배사 이야기》중에서 - * 도배뿐만이 아닙니다. 어느 것 하나 쉬운 것이 없습니다. 손이 익을 때까지 잘 견디어내는 것이 우선입니다. 그 과정에서 겪는 고통과 피곤함.. 더보기 [좋은 글귀 한줄] 21. 08. 23 한줄 태그로 보는 아침편지 계획을 세웠으면, '계획을 실행'해야 합니다. 문제를 본격적으로 푸는 단계입니다. 문제를 다 풀고 난 후, 마지막으로는 반드시 '반성의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 문제 해결의 전 과정을 점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만이 성공적인 문제 해결이 가능합니다. - 반은섭의《인생도 미분이 될까요》중에서 - * 일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잠깐 돌아보는 시간입니다. '성찰의 시간'이기도 하고 '반성의 시간'이기도 합니다. 목표 지향적으로 무조건 내달리기만 하면 중요한 것을 놓치기 쉽습니다. '잘 하고 있나', '방향은 맞는가', '다듬고 수정할 것은 없나', 중간 점검을 해야 최종적으로 목표하는 지점에 성공적으로 도달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더보기 [좋은 글귀 한줄] 21. 08. 22 한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기 자리를 약간 옮겨서 그 그림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다. 그림과 더 가까워졌거나 더 멀어졌을 때 무엇이 변하는가? 그림의 다른 면으로 주의가 이끌리는가? 특정 부분만 보는 것이 아니라 그림 전체를 볼 때 당신은 어디부터 바라보는가? - 조너선 S. 캐플런의《도시에서 명상하기》중에서 - * '그림'을 '사람'으로 바꿔서 읽어봅니다. 그 사람은 그대로입니다. 그러나 조금만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면 전혀 다른 면이 보입니다. 놓쳤던 부분, 가려졌던 부분이 보이고, 이전까지 단점으로 보였던 부분이 엄청난 장점으로 바뀝니다. 어떤 자리에서 어떤 마음으로 보느냐에 따라 그림도 사람도 달리 보입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더보기 [좋은 글귀 한줄] 21. 08. 21 한줄 어제와 같은 오늘을 살면서 당신은 매일 아침 똑같은 자리에서 일어나, 늘 먹던 대로 아침을 먹고, 비슷한 패턴의 옷을 걸치고, 익숙한 길을 따라 출근한다. 어제와 똑같은 동료들과 늘 하던 익숙한 일들을 하는 동안 동료들은 어제와 똑같은 감정 버튼을 누르고, 당신은 똑같이 반응한다. 거듭되는 일상은 습관이 되고, 당신의 몸은 무의식적으로 움직이게 되며, 감정적으로는 과거 속에서 살게 된다. 그리고 안타깝게도 그 과거가 당신의 미래가 된다. - 조 디스펜자의《브레이킹, 당신이라는 습관을 깨라》중에서 - 이 책의 저자는 습관이 된 몸, 습관이 된 마음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주어진 삶의 '환경'보다 더 크게 생각하고, '몸'에 기억된 느낌들보다 더 커져야 한다고 말합니다. 몸을 '새로운 마음'에 길들이는 것이 .. 더보기 [좋은 글귀 한줄] 21. 08. 20 한줄 한국 영화의 국내 시장 점유율 51% 한국인들이 영화관에 가서 보는 영화는 절반 이상이 한국 영화다. 세계 많은 나라들에서 '자국 영화'가 멸종 위기를 맞고 있는 '팍스 할리우드'의 시대에 이건 드문 경우다. 2019년 한국 영화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51%. 전 세계에서 자국 영화의 시장 점유율이 50% 넘는 나라는 미국 인도 중국 일본 한국 이렇게 5개국뿐이다. 이탈리아의 자국 영화 시장 점유율은 10%를 오르내린다. - 조선희의 《상식의 재구성》 중에서 - * 백범 김구 선생은 '문화국가 건설이 나의 소원'이라 말했습니다. 문화국가의 핵심은 콘텐츠이고 그 콘텐츠의 하나가 영화입니다. '기생충', '미나리' 등으로 한국 영화의 위상을 드러내주었고, 51%의 국내시장 점유율은 전 국민의 대중적 관심을 .. 더보기 [좋은 글귀 한줄] 21. 08. 19 한줄 같은 사람인데 전혀 다른 느낌 저녁 무렵, 출출해져 오는 배. 갓 구워 따끈따끈한 크로켓 빵 입에 착착 붙는 단맛 일품요리 크로켓 빵. 자고 일어난, 다음 날 아침. 어제 남겨 냉장고 속에 넣어 두었던 크로켓 빵 화들짝 놀란 짠맛 먹고 싶지 않은 크로켓 빵. 같은 크로켓 빵인데 전혀 다른 식감. 같은 혀인데 전혀 다른 맛. 같은 사람인데 전혀 다른 느낌. 같은 사람인데 전혀 다른 마음. - 박영신의《옹달샘에 던져보는 작은 질문들》중에서 - * '내가 알던 그 사람이 맞아?' 같은 사람인데 어느 순간 전혀 다른 사람처럼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그 사람이 변한 것 때문일 수도 있고, 내가 미처 몰랐거나 변덕일 수도 있습니다. 사람은 변합니다. 느낌도 변합니다. 그러나 본질은 변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믿음'.. 더보기 [좋은 글귀 한줄] 21. 08. 18 한줄 태그로 보는 아침편지 나도 모르게 뜨거운 눈물이 주르르 흘러내렸다. 아! 아버지. 순례길에서 다들 한 번은 눈물을 흘린다는데, 내가 그럴 줄은 몰랐다. 옹이 없는 나무 없듯 상처 없는 인생이 어디 있겠는가. 애써 외면했던 아버지를 산티아고 순례길에서 만나다니, 정말 그럴 줄 몰랐다. 아버지에게 용서를 빌지는 않았다. 그러나 화해는 한 것 같았다. 뜨거운 눈물이 그랬다. - 김인식의《자유로운 영혼으로 혼자서 걸었습니다》중에서 - * 아버지로부터 받은 상처가 없는 사람 매우 드뭅니다. 대못처럼 너무 깊이 박힌 상처 때문에 참으로 어려운 것이 아버지와의 화해입니다. 수년 전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에 동행했던 60대 한 여성도 "돌아가신 아버지와 40년 만에 화해했다"라며 오열했습니다. 저도 순례길을 걷다가 사춘.. 더보기 [좋은 글귀 한줄] 21. 08. 17 한줄 후회할 시간이 있거든 후회는 그저 뒤늦은 변명일 뿐이다. 말과 생각의 군더더기다. 반성이 이성적인 성찰이라면 후회는 감성적인 집착이다. 나에게도, 남에게도 구질구질하게만 느껴진다. 후회할 시간과 에너지가 있다면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훨씬 낫다. - 조은강의《마흔 이후 멋지게 나이 들고 싶습니다》중에서 - * 돌아보면 후회할 일이 참 많습니다. 아무 소용이 없는 줄 뻔히 알면서도 땅을 치고 후회하며 부끄러워 몸 둘 바를 모릅니다. 분명 시간 낭비, 에너지 낭비일 뿐입니다. 하지만 반성과 성찰은 다릅니다. 지난 실수와 잘못에서 금싸라기 같은 교훈을 얻어 어제보다 더 나은 길을 찾아가는 생산의 시간입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더보기 [좋은 글귀 한줄] 21. 08. 16 한줄 태그로 보는 아침편지 나는 머릿속으로 셈을 한다. 잠을 이루 수 없을 때는 숫자 하나를 골라서 가지고 논다. 지금 생각나는 숫자는 314다. 314를 어떤 숫자들로 나눌 수 있는지 생각해 보거나 그 숫자 속에 있는 숫자들을 더하거나 곱하거나 빼거나 나누는 식으로 셈해서 다시 314가 나올 때까지 반복한다. 생각 대신 셈에 집중할 수밖에 없을 만큼 문제가 까다롭되 잠이 안 들 정도로 정신이 말똥말똥해지지만 않으면 된다. - 클라우디아 해먼드의《잘 쉬는 기술》중에서 - * 불면으로 괴로울 때가 있습니다. 자기만의 잠자는 기술이 있으면 좋은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쉽게는 숫자 세기, 주기도문, 염불 등이 있고, 다양한 호흡법도 있습니다. 저는 '3.3.3 호흡법'을 사용합니다. 하~ 세 번, 쓰~ 세 번, .. 더보기 [좋은 글귀 한줄] 21. 08. 15 한줄 카네기 도서관 알다시피 카네기는 미국의 필란트로피에서 가장 잘 알려진 인물 중 한 명이다. 앤더슨 대령이라는 사람이 어린 소년 카네기에게 자신의 서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준 관대함 덕분에 카네기가 그런 삶을 살 수 있었다. 앤더슨 대령의 관대함은 수십 년 후까지 밖으로 드러나지 않았지만, 이후 '카네기 도서관'을 이용해온 수백만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끼쳤다. - R. L. 페이턴의《필란트로피란 무엇인가》중에서 - * 10대 때, 시립도서관은 소풍 장소이자 안식처였고 저를 품어주고 숨겨주는 안락한 동굴과도 같았습니다. 그 속에 수많은 사람들과 세계 곳곳, 역사의 숨결이 저의 불안과 걱정을 달래주고 세상과 연결해 주는 다리가 되어 주었습니다. 그때는 몰랐던 '공공의' 역할, 지금도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더보기 이전 1 ··· 69 70 71 72 73 74 75 ··· 80 다음